[현장연결] 질병청 "5∼7월 신규 확진자의 93.4%는 백신 미접종자"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가 코로나19 발생 현황과 대책을 설명합니다.<br /><br />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배경택 /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상황총괄반장]<br /><br />이 중 접종 완료자는 1156만 5121명으로 전 국민의 22.5%입니다.<br /><br />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 및 70대가 91.7%로 가장 높았고 80세 이상은 81.8%이며 84%가 예약을 마치시고 7월 마지막 주부터 접종을 시작하신 50대는 76%가 1차 접종을 완료하셨습니다.<br /><br />현재는 18~4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이 진행 중이며 9월 18일 18시까지 추가 예약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아직까지 예약을 하지 못하신 분들께서는 예약에 동참하시어 접종을 받아주시도록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 국제항해종사자 대상 백신 접종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은 국제항해종사자에 대한 백신 접종을 8월 23일부터 실시합니다.<br /><br />이번 접종은 국내 단기 체류로 인해서 18~49세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어렵거나 접종 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내국인 선원에 대한 예방접종이며 장기간의 선상 생활, 밀집, 밀폐, 밀접 등 3밀 환경으로 집단발생 위험이 높아 별도 접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접종 대상자는 약 1만 명이며 지정된 보건소 및 접종센터에서 8월 23일부터 9월 30일 기간 동안 접종을 받게 됩니다.<br /><br />접종 백신은 30세 이상은 얀센 백신, 3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모더나 백신 101만 7000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합니다.<br /><br />이로써 7월 1일부터 8월 23일까지 2529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으며 누적 4392만 회분의 백신이 도입되었습니다.<br /><br />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되는 대로 신속하게 안내해 드릴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이상반응 신고 현황 주간보고입니다.<br /><br />전체 예방접종 3629만 9004건 중 이상반응은 15만 3000여 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.42%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신고 사례 중 근육통, 두통 등 일반적인 이상반응은 95.5%, 중대한 이상반응은 4.5%이며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0.56%, 화이자 백신이 0.30%, 얀센 백신이 0.68%, 모더나 백신이 0.35% 입니다.<br /><br />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~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할 것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중증 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 주시기를 바랍니다.<br /><br />화이자, 모더나 백신 접종 후에 심근염이나 심낭염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또한 아스트라제네카, 얀센 백신 접종 후에 드물지만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 결과입니다.<br /><br />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은 현재까지 총 27차례에 걸쳐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 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심의하였습니다.<br /><br />신고 사례는 총 1833건이고 그중 212건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25건은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되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 20일날 개최된 예방접종피해조사반 27차 회의에서는 신규 55건 및 재심의 1건을 포함하여 총 99건을 심의하였습니다.<br /><br />아나필락시스 17건에 대해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중증 1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습니다.<br /><br />그 외 사망 및 중증 53건, 아나필락시스 26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사망 1건, 중증 2건은 재평가하기로 하였습니다.<br /><br />신규 사망 신고 사례 26건의 평균 연령은 77.6세였고 이 중 25건에 기저질환이 있으셨으며 접종한 백신은 화이자 백신 15건,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건이었습니다.<br /><br />신규 중증 신고 사례 29건의 평균 연령은 62.1세였고 이 중 29명에게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는 평균 9.3일이 소요되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7건, 화이자 백신 8건, 교차접종이 1건, 얀센이 3건이었습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최근 1주간 코로나19 국내 신규 발생 환자는 일평균 1751명으로 전주 대비 1.6% 감소하였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도 불구하고 휴가 등의 영향으로 최근 1주간 일평균 1101명을 기록하였으며 전주 대비 2.6% 증가하였습니다.<br /><br />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650.1명이 발생하여 전주 대비 7.5% 감소하였습니다.<br /><br />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.02로 전주 대비 감소하였고 수도권은 1.03, 비수도권은 1.01이었습니다.<br /><br />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는 375명으로 지난주와 유사하였으며 사망자는 54명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습니다.<br /><br />해외 유입 사례는 일평균 53명으로 전주 대비 감소하였습니다.<br /><br />2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5.9명, 30대의 연령군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4.3명으로 계속 높은 수준으로 확진환자가 발생하였으며 70대 이상 연령군에서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가족, 지인, 직장 등 개인 간 접촉 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%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사 중 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규 집단감염은 총 37건으로 사업장 14건, 가족, 지인 모임 6건, 다중이용시설 7건, 의료기관, 요양시설에서 3건, 교육시설 5건, 기타 2건이 발생하였습니다.<br /><br />5월에서 7월 24일 확진자 총 6만 5347명 ...